회계, 세무/기초 회계원리

[기초 회계원리] 2. 계정과목 - (1) 자산

AmeliaY 2024. 3. 14. 09:51
728x90

 

 

01. 자산

 

자산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유형, 무형의 유가치물을 말하며, 1년 또는 정상영업주기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분류된다.

 

 

02. 유동자산

 

(1) 당좌자산

판매과정을 거치지 않고 1년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① 현금및현금성자산

기업 내부 목적용으로는 현금, 보통예금, 당좌예금 등으로 각각 구분된 계정과목을 사용하지만, 외부에 보고되는 재무제표에서는 이러한 계정들을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통합해서 하나의 계정과목으로 표시한다.

 

② 당좌수표의 회계처리

당좌수표는 발행할 때와 지급 받았을 때 사용하는 계정과목이 다르다. 발행한 경우 당좌예금이 감소하도록 대변에 당좌예금을 기록하고, 타인발행당좌수표를 지급받은 경우 현금이 증가하도록 차변에 현금을 기록한다. 이는 타인발행당좌수가 언제든지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통화대용증권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③ 단기매매증권의 회계처리

 

(2) 재고자산

① 재고자산의 분류

재고자산은 주된 영업활동을 통해 판매할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 등을 말한다. 재고자산은 기업의 업종에 따라 계정과목이 달라지는데, 상품을 싸게 사와서 이윤을 붙여서 파는 상기업의 경우에는 상품이라는 계정과목을 사용하고 직접 제조한 제품을 판매하는 제조업의 경우에는 제품이라는 계정과목을 사용한다.

 

② 수량결정방법

기말재고자산의 수량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계속기록법과 실사재고조사법이 있다. 실무에서는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장부 재고수량과 실제 재고수량을 비교하여 비용처리 한다.

 

③ 원가흐름의 가정 : 재고자산의 매입가격은 그 구입시기에 따라서 변동한다. 판매되는 재고자산의 취득가액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기말에 남아있는 재고자산 금액과 매출원가가 달라지게 된다.

 

 

03. 비유동자산

 

(1) 투자자산

 

(2) 유형자산

 

① 유형자산의 취득원가

매입가액 또는 제조원가에 취득부대비용을 가산하며, 취득부대비용에는 운송비, 설치비, 취득과 관련된 중개인 수수료, 취득세 등 취득과 직접 관련된 제세공과금 등이 있다.

 

② 유형자산 취득 이후 지출

 

③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산의 가치가 점점 소모됨에 따라 일정기간에 걸쳐 비용을 배분하는 것을 감가상각이라고 한다.

  • 감가상각비 결정 요소
    • 내용연수 : 예상되는 자산의 사용기간
    • 잔존가치 : 자산의 내용연수 종료 후 유형자산을 처분하여 받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는 금액
  • 감가상각법

 

④ 유형자산의 처분

유형자산을 처분하는 경우에는 감가상각누계액을 먼저 감소시킨 후에 처분가액과 처분 전 장부가액을 비교하여 처분손익을 인식해야 한다.

 

(3) 무형자산

영업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물리적 실체가 없는 자산으로, 식별가능하고, 기업이 통제하고 있으며, 미래 경제적 효익이 있는 자산이다.

 

(4) 기타비유동자산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비유동자산으로 임차보증금, 전세권, 장기외상매출금, 장기받을어음, 장기매출채권, 대손충당금, 장기미수금, 부도어음과수표가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