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재무제표 (Financial Statements)
기업이 기말 결산 시,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 등을 기업의 외부 이해관계자(주주, 채권자, 정부 등)에게 제공하기 위해 작성한 회계 보고서
※ 종류 :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
02. 재무상태표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일정시점에 회사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서로 여기서 재무상태란 특정 시점의 자산, 부채 및 자본의 내용과 크기를 의미한다. 자산은 재무상태표의 차변에 부채와 자본은 재무상태표의 대변에 표기하고, 차변의 합과 대변의 합은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1) 자산 (Asset)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고 있고,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이다.
기업이 소유하고 있고, 금전적인 가치가 있는 재산( = 총 자산)
(예: 현금, 예금, 외상매출금, 건물 등)
(2) 부채 (Liability)
과거사건으로 생긴 현재의무로서, 기업이 가진 경제적 효익이 있는 자원의 유출을 통해 그 이행이 예상되는 의무이다.
기업이 미래에 일정한 금액을 타인에게 지급해야 할 채무( = 타인자본)
(예: 외상매입금, 차입금, 선수금 등)
(3) 자본 (Owner's Equity)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총자산에서 타인에게 지급해야 할 총부채를 차감한 잔액( = 자기자본 = 순자산)을 말한다.
재무상태표의 등식에서 부채를 좌항으로 이항하면 '자산 - 부채 = 자본'의 식이 되므로 자본은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하여 측정한다.
(4) 재무상태표의 작성기준
03.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 IS)
소유주와의 자본거래에 따른 자본의 변동을 제외한 기업 순자산의 변동을 표시하는 보고서로 일정기간 동안 회사가 달성한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보고서를 말한다.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하여 순이익을 산출한 것
(1) 수익 (Revenue)
자산의 유입이나 증가 또는 부채의 감소에 따라 자본의 증가를 초래하는 특정 회계기간 동안에 발생한 경제적 효익의 증가로, 회사의 지속적인 영업활동 결과로 획득하거나 실현한 금액을 말한다.
(예: 매출액, 임대료, 이자수익 등)
(2) 비용 (Expense)
자산의 유출이나 소멸 또는 부채의 증가에 따라 자본의 감소를 초래하는 특정 회계기간 동안에 발생한 경제적 효익의 감소로서, 수익을 얻기 위해 지출하거나 발생한 금액을 말한다.
(예: 매출원가, 급여, 광고선전비, 이자비용 등)
(3) 손익계산서의 작성기준
① 당기순손익 : 한 회계기간에 인식되는 모든 수익과 비용항목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당기순손익은 영업손익과 영업외손익으로 구분된다. 영업이익은 기업의 영업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며 매출총액에서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를 차감하여 계산할 수 있다.
② 기타포괄손익 :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 않은 수익과 비용항목으로 장기적으로 미실현 보유이익 성격의 계정을 말한다.
04.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관계
일정기간을 나타내는 손익계산서는 일정시점을 나타내는 처음 재무상태표에서 다시 일정시점을 나타내는 다음 재무상태표와 연결된다.
포괄손익계산서의 결과물인 당기순이익은 원천계정인 자본(이익잉여금)에 가감하는 것으로 마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