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SM 7

[SAP/ABAP] 엑셀 템플릿 업로드 양식 관리 (SMW0)

현업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SAP에 등록해야 할 때,엑셀에 데이터 입력 후 업로드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이때 업로드하는 엑셀은 SAP에 등록된 양식을 사용하여야 한다.아래 글은  SAP에 해당 양식을 등록하는 방법이다.  SAP 엑셀 템플릿 업로드 양식 관리 1. T-CODE: SMW0 에서 찾기 버튼으로 실행  2. 오브젝트 조회 - 기존 양식 수정 시 해당 오브젝트 이름으로 조회 - 신규 양식 등록 시 등록하고자 하는 오브젝트 이름으로 조회  3. 신규 양식 등록생성버튼 클릭 후 등록하고자 하는 오브젝트 이름 및 내역 입력 후 임포트  4. 기존 양식 수정해당 오브젝트 라인 선택 후 임포트  5. 등록된 양식 값은 아래 테이블에 저장된다. - Table: WWWDATA - Table: WWWPAR..

SAP/ABAP 2024.12.23

[SAP/GUI] 텍스트 기호 환산(Translation)

SAP에서 ALV로 화면을 그리다 보면 텍스트 기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특히 텍스트는 로직에 하드코딩으로 작성하기 보다는, 텍스트 기호를 사용하는 것이 유지보수 측면에서 좋다. 또한 생성한 텍스트 기호는 프로그램의 모든 사용자 언어를 대상으로 번역을 생성하는 것이 좋다. 아래는 해당 텍스트 기호를 환산(Translation)하는 글이다.  SAP 텍스트 기호 환산(Translation) 방법 1. SAP GUI 메뉴 바에서 이동 → 텍스트 기호  2. 다시 SAP GUI 메뉴 바에서 이동 → 환산  3. 번역할 언어를 입력 후 실행  4. 텍스트를 입력 후 저장※ 활성화(Activate) 단축키인 Ctrl + F3 을 누르면 모든 입력한 값이 사라지니 주의 !※ 원어 필드를 더블클릭하면, 대상언어 필..

SAP/SM 2024.03.11

[SAP/BC] 계정 잠금 해제 및 비밀번호 초기화 방법 (SU01)

SAP는 비밀번호를 일정 횟수 이상 틀리게 입력하면 계정이 잠겨버린다. 운영 서버의 계정 잠금/잠금해제 권한은 보통 BC만 가지고 있어, 해당 권한 보유자에게 요청하면 된다. 아래는 계정 잠금 해제 및 비밀번호를 초기화 하는 방법이다.  SAP 계정 잠금 해제 및 비밀번호 초기화 방법 1. T-CODE: SU01 2. 계정 잠금 해제  3. 비밀번호 초기화  - End.

SAP/SM 2024.01.30

SAP SE16N에서 테이블 데이터 추가/수정/삭제

SAP 운영 업무를 하다 보면 테이블 데이터를 강제로 수정/삭제할 경우가 생긴다. 또는 개발 과정에서 테스트 진행 시에 테이블 데이터를 추가할 경우가 생긴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SE16N에서 테이블 데이터를 강제로 수정/삭제하는 방법이다. SAP SE16N에서 테이블 데이터 추가/수정/삭제 방법 1. T-CODE: SE16N 2. Command Field에 /H 를 입력해 디버깅 설정 후 실행 3. 아래 변수에 'X' 값 넣어준 후, 엔터로 Edit 활성화 1) GD-EDIT 2) GD-SAPEDIT 4. SAP 테이블 데이터 추가/수정/삭제가 가능한 상태로, 저장으로 테이블 값 업데이트 - End.

SAP/SM 2024.01.10

SAP SCAL 임시공휴일/대체공휴일 등록하기

기존에 등록된 SAP 공휴일 달력에, 임시공휴일/대체공휴일을 추가하는 방법이다.1) 공휴일 생성, 2) 공휴일 달력에 해당 공휴일 등록, 3) CTS 이관 순으로 진행된다.  SAP SCAL 공휴일 달력에 임시공휴일/대체공휴일 등록하기 1. 개발 서버의 Customizing 클라이언트에 접속 2. T-CODE: SCAL 3. 임시공휴일/대체공휴일 생성       4. 생성한 임시공휴일을 공휴일 달력에 등록      5. QA 및 운영 서버로 CTS 이관  6. 만일 개발 서버가 여러 클라이언트로 분리되어 있다면, 아래 방법을 통해 값을 일치시켜 주는 것이 좋다. SAP 클라이언트에 IMG 세팅 값 복사하기 (SCC1)SAP에서 IMG 세팅 값은 민감 정보이기 때문에, 운영에서 직접 변경하지 않는다. 따라..

SAP/SM 2024.01.09

SAP 클라이언트에 IMG 세팅 값 복사하기 (SCC1)

SAP에서 IMG 세팅 값은 민감 정보이기 때문에, 운영에서 직접 변경하지 않는다. 따라서 IMG 값 세팅은 개발 서버에서 진행 후 CTS를 통해 품질 및 운영 서버로 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현재 근무 중인 회사에서는 하나의 개발 서버에서 아래와 같이 3개의 클라이언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IMG 값을 세팅하는 Customizing 클라이언트가 별도로 존재한다. 1. Customizing Client 2. Development Client 3. Unit test Client 이렇게 Customizing 클라이언트에서 IMG 세팅 값을 변경할 경우, 다른 개발 클라이언트에도 해당 내용을 동일하게 세팅할 필요가 있다. SAP 동일 서버 내에서 클라이언트에 IMG 세팅 값 복사하기 1. T-CODE: SCC1..

SAP/SM 2023.12.29

SAP T-CODE 별 사용자 권한 확인하기

매년 진행하는 ITGC 대응 자료를 작성하다 보면, 특정 T-CODE 권한 소유자에 대한 증빙자료를 굉장히 많이 제출하게 된다. 혹은, SAP 운영 업무 중 사용자가 특정 T-CODE에서 트랜잭션을 일으키도록 가이드 할 경우 해당 T-CODE의 권한을 갖고 있는지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위와 같은 경우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며, 개인적으로 SU01 혹은 SUIM에서 Role을 확인하는 것 보다 이 방법을 선호한다. SAP T-CODE 별 사용자 권한 확인하기 1. T-CODE: SA38 2. RSUSR002 입력 후 실행 3. [로그온 데이터] 탭에서, 조회 대상 확인 - 실제 권한 부여 및 사용중인 사용자(잠금 처리하지 않은 사용자)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잠금을 포함하지 않은 사용자만] ..

SAP/SM 2023.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