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세무/기초 회계원리

[기초 회계원리] 2. 계정과목 - (3) 자본

AmeliaY 2024. 3. 14. 11:48
728x90

 

 

01. 자본의 정의

 

자본은 기업의 자산총액에서 부채총액을 차감한 후의 잔액으로서 기업의 순자산, 소유주의 잔여청구권을 말한다.

 

(1) 자본금

①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경우 (현금출자)

 

② 기말 결산 시 손익 계정의 잔액을 자본금으로 대체

  • 손익 계정의 잔액이 대변일 때 : 모든 수익의 합계 > 모든 비용의 합계

 

  • 손익 계정의 잔액이 차변일 때 : 모든 수익의 합계 < 모든 비용의 합계

 

(2) 증자거래

주식을 발행하여 기업의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거래로 대표적으로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로 나눌 수 있다.

① 유상증자 : 주식을 발행하면서 주식의 증가와 함께 회사의 순자산이 실질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 주식발행초과금 : 주식의 순발행가액이 액면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금액 (자본잉여금)
  • 주식할인발행차금 : 주식의 순발행가액이 액면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그 미달하는 금액 (자본조정)
  • 주식발행초과금과 주식할인발행차금은 발생순서에 관계없이 서로 상계한다.

 

  • 유상증자의 회계처리 (주식발행비 생략)

 

  • 무상증자 : 주식발행으로 순자산이 유입되지 않는 자본거래를 말하며, 형식적 증자라고 한다. 자본잉여금이나 이익잉여금을 재원으로 하며, 증자 전후의 자본총계의 변동은 없으며 구성항목의 변동만 있다.
  • 무상증자의 회계처리

 

3. 자기주식

회사가 이미 발행한 주식을 일정한 사유나 특정 목적으로 재취득하여 보유하고 있는 주식

  • 자기주식의 취득

 

  • 자기주식의 처분

 

  • 자기주식의 소각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