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9

[SQL 기초] 1-3. 데이터베이스 서버

1.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이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요청을 전달하는 '클라이언트'와 해당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서버'로 소프트웨어를 나누고, 복수의 컴퓨터 상에서 하나의 모델을 구현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웹 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서버 : 브라우저와 웹 서버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시스템.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로 요청(request)을 보내면, 웹 서버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반환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응답(response)한다. RDBMS의 클라이언트/서버 : 요청과 응답을 위해 웹 시스템에는 없었던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다. SQL 명령 실행 : 서버가 가동 중이고 네트워크에도 연결되어 있다면, RDBMS에 접속하면 SQL 명령을 서버에 보낼 수 있다. 2. 웹 애플리..

IT/SQL 2024.01.25

[SQL 기초] 1-2. 데이터베이스 (2)

1. 데이터베이스 종류 DB의 사용 용도나 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래밍 환경 등 다양한 조건에 맞는 DBMS가 고안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SQL로 데이터를 다루는 DB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DB; Relational Database) 라고 한다.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 폴더와 파일 등의 계층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의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관계 대수'에 착안하여 고안한, 표 형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태의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는 SQL 데이터로 조작 가능하다.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 가능한 '객체(object)' 그대로를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로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베이스. XML 데이터베이스 : XML 형식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XM..

IT/SQL 2024.01.23

[SAP/ABAP] SELECTION SCREEN에 Function Key 추가하기

아래 사진과 같이 조회 화면에 Fucntion Key를 추가하는 방법이다. SELECTION SCREEN에 Function Key 추가하기 1. TABLE, 변수 선언 TABLES: sscrfields. DATA: gs_functxt TYPE smp_dyntxt. 2. Function Key 생성 (최대 5개까지 설정 가능) SELECTION SCREEN: FUNCTION KEY 1. SELECTION SCREEN: FUNCTION KEY 2. SELECTION SCREEN: FUNCTION KEY 3. SELECTION SCREEN: FUNCTION KEY 4. SELECTION SCREEN: FUNCTION KEY 5. 3. Function Key 이름 및 아이콘 설정 *&---------------..

SAP/ABAP 2024.01.19

[SQL 기초] 1-1. 데이터베이스 (1)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로, 먼저 DB의 기본 개념 및 관계형 DB와 기타 DB의 차이점에 대해 확인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인 DBMS의 개념에 대해서도 확인한다. 0. 데이터베이스란 넓은 의미에서의 데이터베이스란 컴퓨터 안에 기록된 모든 것, 즉 데이터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은 특정 데이터를 확인하고 싶을 때 간단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정리된 형태, 즉 정리된 데이터라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는 영구적으로 보존되어야 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하드디스크나 SSD 등 비휘발성 저장장치에 저장한다. 1. 시스템 내의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는 쇼핑몰 웹 시스템의 주문정보, P..

IT/SQL 2024.01.19

SAP SE16N에서 테이블 데이터 추가/수정/삭제

SAP 운영 업무를 하다 보면 테이블 데이터를 강제로 수정/삭제할 경우가 생긴다. 또는 개발 과정에서 테스트 진행 시에 테이블 데이터를 추가할 경우가 생긴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SE16N에서 테이블 데이터를 강제로 수정/삭제하는 방법이다. SAP SE16N에서 테이블 데이터 추가/수정/삭제 방법 1. T-CODE: SE16N 2. Command Field에 /H 를 입력해 디버깅 설정 후 실행 3. 아래 변수에 'X' 값 넣어준 후, 엔터로 Edit 활성화 1) GD-EDIT 2) GD-SAPEDIT 4. SAP 테이블 데이터 추가/수정/삭제가 가능한 상태로, 저장으로 테이블 값 업데이트 - End.

SAP/SM 2024.01.10

SAP SCAL 임시공휴일/대체공휴일 등록하기

기존에 등록된 SAP 공휴일 달력에, 임시공휴일/대체공휴일을 추가하는 방법이다.1) 공휴일 생성, 2) 공휴일 달력에 해당 공휴일 등록, 3) CTS 이관 순으로 진행된다.  SAP SCAL 공휴일 달력에 임시공휴일/대체공휴일 등록하기 1. 개발 서버의 Customizing 클라이언트에 접속 2. T-CODE: SCAL 3. 임시공휴일/대체공휴일 생성       4. 생성한 임시공휴일을 공휴일 달력에 등록      5. QA 및 운영 서버로 CTS 이관  6. 만일 개발 서버가 여러 클라이언트로 분리되어 있다면, 아래 방법을 통해 값을 일치시켜 주는 것이 좋다. SAP 클라이언트에 IMG 세팅 값 복사하기 (SCC1)SAP에서 IMG 세팅 값은 민감 정보이기 때문에, 운영에서 직접 변경하지 않는다. 따라..

SAP/SM 2024.01.09

SAP 클라이언트에 IMG 세팅 값 복사하기 (SCC1)

SAP에서 IMG 세팅 값은 민감 정보이기 때문에, 운영에서 직접 변경하지 않는다. 따라서 IMG 값 세팅은 개발 서버에서 진행 후 CTS를 통해 품질 및 운영 서버로 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현재 근무 중인 회사에서는 하나의 개발 서버에서 아래와 같이 3개의 클라이언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IMG 값을 세팅하는 Customizing 클라이언트가 별도로 존재한다. 1. Customizing Client 2. Development Client 3. Unit test Client 이렇게 Customizing 클라이언트에서 IMG 세팅 값을 변경할 경우, 다른 개발 클라이언트에도 해당 내용을 동일하게 세팅할 필요가 있다. SAP 동일 서버 내에서 클라이언트에 IMG 세팅 값 복사하기 1. T-CODE: SCC1..

SAP/SM 2023.12.29

SAP T-CODE 별 사용자 권한 확인하기

매년 진행하는 ITGC 대응 자료를 작성하다 보면, 특정 T-CODE 권한 소유자에 대한 증빙자료를 굉장히 많이 제출하게 된다. 혹은, SAP 운영 업무 중 사용자가 특정 T-CODE에서 트랜잭션을 일으키도록 가이드 할 경우 해당 T-CODE의 권한을 갖고 있는지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위와 같은 경우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며, 개인적으로 SU01 혹은 SUIM에서 Role을 확인하는 것 보다 이 방법을 선호한다. SAP T-CODE 별 사용자 권한 확인하기 1. T-CODE: SA38 2. RSUSR002 입력 후 실행 3. [로그온 데이터] 탭에서, 조회 대상 확인 - 실제 권한 부여 및 사용중인 사용자(잠금 처리하지 않은 사용자)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잠금을 포함하지 않은 사용자만] ..

SAP/SM 2023.12.08